과학다큐 비욘드 미래식량 새로운 먹거리의 탄생, 실험실 인공고기, 패트릭 브라운, 임파서블 버거, 배양육, 헴분자, 식용 곤충, 식물공장, 얀손,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미래식량 비욘드 9회
TV 2017. 7. 4. 21:39EBS1 과학다큐 비욘드 9회 '미래식량, 새로운 먹거리의 탄생' 방송소개 ( 과학다큐 비욘드 2017년 7월 6일 방송 )
지난 방송 '살 빠지는 지방, 갈색지방의 반격' 보셨나요
개인적으로 꽤 흥미로왔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이번주 방송 '미래식량, 새로운 먹거리의 탄생' 역시 무척이나 기대됩니다.
주내용이 '미래식량 새로운 먹거리의 탄생, 실험실 인공고기, 패트릭 브라운, 임파서블 버거, 배양육, 헴분자, 식용 곤충, 식물공장, 얀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등 이라고 하네요
준비 많이 했다고 하니깐요, 이번 방송 절대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즐감하시길 ... ^^
편성 : EBS1 (목) 21:50
인류 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대를 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 지금 이 풍요로움이 언제까지 계속될지는 미지수다.
온난화로 뜨거워지는 지구, 가뭄으로 죽어가는 곡식과 열매, 그리고 늘어가는 인구수
이대로 풍요로운 식탁은 우리에게서 사라지는 것일까?
앞으로 우리 식탁에 오를 미래식량은 무엇이 될까?
본 프로그램은 현재 개발 중인 미래식량을 살펴보고 식량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미래식량을 위한 과학의 현주소를 점검해본다.
실험실에서 만들어낸 인공고기 : 임파서블 버거와 배양육
현재 미국 실리콘밸리의 최대 관심사는 음식 산업이다.
특히 육류, 달걀 등 동물에서 얻던 음식을 식물 원료로 똑같이 만드는 회사가 대세다.
지난해 한 식품 벤처기업은 100% 식물 원료로 만들었지만 실제 고기의 맛과 식감을 완벽히 재현한 햄버거용 패티를 개발했다.
고기 맛을 구현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헴(heme)분자.
이 인공고기를 만든 패트릭 브라운은 오랜 연구 끝에 우리가 고기 맛이라고 느끼는 것의 과학적 실체를 찾아냈다.
네덜란드에선 인공 고기를 만들기 위해 더 혁신적인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소의 근육에서 줄기세포를 분리 배양해 실험실에서 고기를 만드는 것이다.
바로 인공 배양육이다.
만일 배양육이 육류를 대체할 수 있다면 인류의 식량난을 해결하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곤충, 겉모습에 대한 편견만 깨면 훌륭한 단백질원
친환경적인 단백질 공급원이자 미래 식량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식용 곤충.
곤충은 영향학적으로도 훌륭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 생산의 측면에서 가축사육보다 효율적이다.
먹이 전환 효율이 높아 사료 10kg으로 무려 9kg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곤충이 가진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곤충을 먹는다는 것은 아직 낯설고 거북한 일이다.
곤충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을 깰 방법은 없는 것일까?
네덜란드와 국내 연구진의 곤충을 식량화하기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곤충 식품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곤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고찰해 본다.
식물의 유전자 교정과 생산 시스템의 혁신
지난해 5월, 스웨덴의 식물학자 얀손 교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편집한 양배추를 경작한 뒤 이를 먹었다고 자신의 블로그에 공개했다.
이 사건이 이슈가 된 것은 유전자 가위로 편집한 식물을 섭취한 최초의 사례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작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유전자 교정 식물을 만드는데 성공한 건 우리나라가 훨씬 먼저였다.
빠르고 정확하게 품종개량을 할 수 있어 식량난을 해결할 새로운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유전자 가위 기술.
식량난을 해결할 새로운 육종기술이 될지, 또 다른 GMO가 될 지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지구 온난화는 새로운 품종개발과 함께 농작물의 새로운 재배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떠 오른 것이 식물공장이다.
빛,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작물 재배에 필요한 조건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유지시키며 외부 환경과 상관없이 작물을 재배할 수 있어 공산품처럼 계획생산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지구의 기후가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작물에 대한 식생 조건들도 빠르게 바뀌고 있는 지금. 미래식량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유전자 교정과 식물공장 사례를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