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

세계는지금 멕시코 사라지는 여성들 연쇄살인범 부부 공업지대 마킬라 마약 범죄도시 후아레스 실종 여성, 우크라이나 함정 나포 러시아의 속셈 케르치 해협 크림대교 세계는지금 103회

아리아리동동 2018. 10. 21. 22:18
반응형


세계는지금 멕시코 사라지는 여성들 연쇄살인범 부부 공업지대 마킬라 마약 범죄도시 후아레스 실종 여성, 우크라이나 함정 나포 러시아의 속셈 케르치 해협 크림대교 세계는지금 103회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103회 2018년 12월 1일 방송 예고 미리보기 다시보기 재방송 


■ 멕시코 - 사라지는 여성들 

지난 10월, 멕시코에서 20명의 여성을 살해한 연쇄살인범 부부가 검거됐다.

이 부부는 시신 일부를 거름으로 사용하고, 시체를 유모차에 운반하는 등 시체유기 과정도 비인간적이었다.

또한, 최근에는 10명 이상 여성을 살해한 연쇄살인범이 검거되기도 했다.

유엔 여성기구에 따르면 멕시코에서 피살된 여성은 2016년 2,790명에서 2017년 3,526명으로 1천명 가까이 증가했다.

하루에 7명의 여성들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되어 생사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

범죄 천국이라 불리는 멕시코에서는 유독 피해자가 여성이 되는 경우가 많다.

가톨릭교의 가부장적 문화와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이 심하지 않아 여성이 연쇄살인범, 납치 전문조직에 더 쉽게 범죄의 표적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여성 범죄 가해자 중 징역형 이상을 받는 건 겨우 2%에 불과하다.

멕시코 외곽의 공업지대 마킬라. 

대부분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혼자 사는 여성이 많아 여성을 대상으로 한 강력범죄가 자주 발생한다. 

구스타보 씨의 딸 디아나도 이 마킬라에서 근무하고 귀가하던 중 살해를 당했지만 사건 발생 1년이 지난 지금도 경찰은 아무런 단서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

마약 범죄도시로 악명 높은 후아레스에는 실종 여성들의 사진을 걸어두는 곳이 있다. 

이곳에서 호세 루이스 씨는 9년 전 사라진 딸을 찾기 위해 지금도 행인들에게 딸의 사진이 담긴 전단지를 나눠주고 있다.

딸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희망의 끈을 놓을 수 없는 것이다.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에서는 멕시코에서 증가하고 있는 여성 범죄에 대한 민낯과 흔적 없이 사라진 멕시코 여성들의 참혹한 현실을 조명해본다.


■ 우크라이나 함정 나포, 러시아의 속셈은?

지난 25일, 러시아가 아조프해로 진입하기 위해 케르치 해협을 지나는 우크라이나 군함 3척에 총격을 가해 나포했다.

러시아는 이번 충돌 원인을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영해를 무단으로 침범했다고 주장한 반면 우크라이나는 사전에 항해를 미리 알렸지만 무력 공격을 당했다며 반박했다.

이에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8일부터 러시아 국경 지대에 

30일 간 계엄령을 선포하며 국제 사회에 대러시아 제재를 호소했다.

두 나라가 대립 중인 케르치 해협은 아조프해와 흑해를 연결하는 길목이다. 

우크라이나는 이 케르치 해협을 통해 밀과 철강을 수출하고 석탄을 수입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고, 러시아에게는 2014년 강제 합병한 크림반도와 본토를 이어주는 곳이기 때문에 군사적 요충지이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5월 케르치 해협에 크림대교를 건설해 이 일대의 장악력을 높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양국의 충돌이 푸틴 대통령의 계획적 의도라고 주장한다. 

연금개혁 등으로 5년 만에 처음으로 지지율 50%대를 기록한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충돌이라는 강수를 둬 유권자들의 시선을 국외로 돌리려 한다는 것이다.

반면 러시아는 내년 3월 치러질 우크라이나의 대선을 언급하며 지지율 8%에 불과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이번 사건을 선거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노린 것이라 주장한다.

이번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대립은 점점 미국, 유럽과 러시아의 대립으로 확장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러시아의 무력 사용을 비난하고 우크라이나 영토와 주권에 대한 지지를 표하고, 미국 역시 러시아의 행위를 ‘침략’으로 규정하며 우크라이나에 군사지원을 약속했고 푸틴 대통령과 예정된 정상회담까지 취소할 의사를 내비쳤다.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에서는 케르치 해협을 둘러싸고 대립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관계를 짚어보고, 두 국가의 분쟁이 국제사회에 미칠 여파를 분석해본다. 

반응형